청소년의 행복한 성장지원을 위한 마을네트워크 ‘e음’은 2020년 여성가족부 지역사회 청소년 성장지원 모델 시범사업으로 선정되어 올해 사업 2년차에 접어들었습니다.
e마을학교란?
1. 'e음' 이란?
○ 사 업 명 : 청소년의 행복한 성장지원을 위한 마을네트워크 ‘e음’
○ 사업목적
-마을공동체를 구현하기 위한 발판으로 주민참여·청소년참여를 위한 플랫폼 구축
-청소년의 성장 지원을 위해 결정·집행 과정에서 상호협력하고 책임을 지는 거버넌스 형태의 마을 네트워크 구조
○ 사업기간 : 2021년 2월 ~ 11월
○ 사업지역 : 창원시
○ 내용 및 계획

-[성장기반 조성단계 : 2020년 ~ 2021년] 즐거운 마을네트워크 ‘e음’
민·관 협력적 거버넌스 ‘e음; 협의체 구성 및 온·오프라인 공유 플랫폼을 통한 청소년주도 아젠다 발굴과 마을의 역량 개발 지원
-[성장 가시화 단계 : 2022년 ~ 2023년] 행복한 마을네트워크 ‘e음’
청소년 성장지원에 관심 많은 지역주민들의 크고 작은 자생단체 생성·지원
-[안정적 성장 단계 : 2024년 ~ 2025년] 단단한 마을네트워크 ‘e음’
자생단체들의 포괄적 연계로 인한 지속적이고 단단한 마을네트워크 생성
○기대효과
-분절된 자원 연계를 통해 지역사회 내 청소년의 다양한 욕구 대응 가능
-청소년관련 서비스의 중복 및 누락 방지
-지역사회 소속감 및 공동체 의식의 증진
-청소년도 지역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장 마련
2. '마을학교' 란?
‘한 아이를 키우기 위해서는 온 마을이 필요하다’ 라는 속담처럼 한 아이의 꿈을 키우기 위해서는 온 마을의 관심과 정성이 필요합니다.
청소년 및 마을 주민들이 지역 밀착 현장형 마을 체험을 통해 진로에 대한 인식을 강화하고 아울러 이웃 사촌과 만님의 장이 실현될 수 있으며, 세대와 세대 간의 참 만남을 통해 청소년과 학부모, 지역사회, 학교, 지역사회가 함께 마을교육공동체를 만들어 나가기 위한 활동을 말합니다.
○ 사업목적
– 청소년이 마을에서 직업 체험을 통해 바람직한 지역 가치관과 다양한 직업 세계를 이해하고 마을 주민과의 소통을 통해 공동체 의식을 향상한다.
– 지역사회 : 마을교육공동체 환경 조성
⇒ 지역사회를 이끌어갈 역량있는 인재를 지역사회에서 키우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.
○ 마을학교 추진과정

○ 마을학교 운영체계

○ 창원시 마을학교 구성 마을 안내
1. 진해지역 : 덕산마을, 여좌마을, 용원마을
2. 창원지역 : 팔용마을, 도계마을
3. 마산지역 : 자산마을, 양덕마을
○ 기대효과
1. 청소년이 지역사회와 연계하여 지역주민과 함께 성장할 수 있는 마을공동체를 형성할 수 있다.
2. 청소년이 현장형 진로 체험활동을 통하여 진로설계 역량을 키우고 이를 통한 진로선택 결정할 수 있다.
3. 청소년의 진로체험 활동으로 지역주민과의 활발한 교류로 지역주민과 함께 마을을 같이 이끌어 나갈 수 있다.